안녕하세요:)
대통령선거는 5년마다 한 번씩 선거가 이루어지는데요.
2022년에 바로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있는 해입니다.
투표는 선거일 기준으로 18세 이상의 국민 (2004년 3월 10일에 태어난 사람까지 포함)으로
2022년 3월 9일 수요일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지정된 내 투표소에서 투표를 할 수 있습니다.
투표하러 갈 때는 반드시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기타 관공서 , 청소년증 등 사진이 붙은 신분증이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해당 날짜에 개인의 사정이 있어서 당일에 참여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서 국가에서는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를 시행하고 있는데요
어떠한 방법으로 참여할 수 있는지 , 시간과 장소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사전투표 기간은 2022년 3월 4일 금요일에서 3월 5일 토요일까지로 시간은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입니다.
대통령 선거 사전투표는 전국에 설치된 3,500여개의 사전투표소에서 진행됩니다.
이번 대통령선거부터 규정이 달라지면서 사전투표 대상자는 2004년도 3월 10일 이전에 태어난 사람으로
과거 대통령선거에 비해 참여 가능한 나이가 내려갔습니다.
이번 제20대 대통령선거에서는 18세 이상이면 투표 가능합니다.
대통령선거 사전투표를 하기 위해서는 꼭 본인임을 확인할 수 있는 신분증이 필요한데요.
종류는 주민등록증, 여권, 운전면허증 외에도 공무원증, 국가유공자증, 장애인복지카드, 국가공인자격증,
청소년증, 학생증, 모바일 신분증 포함하여 기타 관공서나 공공기관 측에서 발급한
본인 사진이 붙어있는 신분증이면 됩니다.
신분증이 없다면 투표가 불가능하므로 꼭 신분증을 챙기세요!
사전투표는 두 가지가 있는데요
관내투표와 관외투표 입니다.
관내투표는 해당 행정구역 내에 주소를 둔 유권자의 경우 관내에 해당이 되어
신분증을 제시하고 본인임을 확인한 후 용지를 수령합니다.
기표소에 비치가 된 용구로 기표를 하면 되고 투표함에 투표용지를 넣고 퇴장하면 끝인 일반적으로 하는 방식입니다.
관외투표는 관내에 해당되지 않는 그 외에 경우로 신분증을 제시하고 본인임을 확인한 후 용지와 주소 라벨이
붙어 있는 회송용 봉투를 수령합니다.
기표소에 비치가 된 용구로 기표를 하고 회송봉투에 넣은 후 봉합을 하여 투표함에 집어넣는 방식입니다.
대통령선거 사전투표를 하는 장소는 포털사이트를 통해 바로 찾을 수 있습니다.
포털사이트에서 바로 찾기 기능을 활용하여 현재 자신의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어디에서 사전투표를 할 수 있는지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https://www.nec.go.kr/site/vt/main.do
제20대 대통령선거 특집홈페이지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제20대 대통령선거 안내
www.nec.go.kr
먼저 홈페이지 접속 후 우측에 있는 초록상자에서 투·개표 정보를 클릭한 후 사전투표소를 클릭해주세요.
클릭한 후 사전투표소 현황 페이지가 뜨면 본인 주소지 정보를 입력한 후 검색을 클릭하면
사전투표 장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전투표장소 조회는 간단하게 조회 가능합니다.
2022년 3월 9일 투표가 어려운 경우 사전투표장소 확인하여
꼭 투표를 하도록 합시다!
감사합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민센터 업무시간은 언제? (0) | 2022.02.23 |
---|---|
출입국사실증명서 인터넷으로 발급하는법 (0) | 2022.02.22 |
대형폐기물 가구 버리는 방법 , 폐기물 수수료 / 고양시 폐기물 (0) | 2022.02.18 |
인스타그램 비활성화하는법 , 인스타그램 좋아요 숨기기 (0) | 2022.02.17 |
여권 신청방법, 여권 온라인 재발급 , 긴급여권 신청방법 (0) | 2022.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