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청년내일채움공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란?
청년이 중소기업에서 장기근속할 수 있도록 청년, 기업, 정부가 2년 간 공동으로 적립하여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제도이며 청년내일채움공제를 통해
청년은 초기 경력형성을 통한 미래설계 기반을 마련할 수 있고
기업은 우수인재를 안정적으로 고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대상
▶ 청년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
군필자의 경우 복무기간에 비례하여 참여제한 연령을 연동하여 적용하되 최고 만 39세로 한정됩니다.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용보험 가입이력이 없거나 최종학교 졸업 후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이
12개월 이하여야 합니다.
단, 3개월 이하 단기 가입 이력은 총 가입기간에서 제외되며
방송, 통신, 방송통신, 사이버(원격대학), 학점은행제, 야간대학, 대학원은 제외됩니다.
학력 제한은 없으나 정규직 취업일 현재 고등학교 또는 대학 재학, 휴학 중인 자는 제외됩니다.
*졸업예정자는 가능*
▶ 기업
청년공제 가입(예정) 대상인 청년의 정규직 채용일 기준, 고용보험 피보험자수 5인 이상 중소기업이 대상이며
소비향락업, 비영리기업 등 일부업종은 제외됩니다.
지식서비스산업, 문화콘텐츠산업, 벤처기업 등 일부 1~5인 미만 기업은 참여 가능합니다.
지원대상에 제외되는 경우
1. 청년공제에 가입했던 자
2. 중기부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하여 정부지원금을 받은 자
3. 대한민국 국적을 보유하지 않은 외국인
4. 허위 기타 부정한 방법으로 청년공제에 가입했던 자
5. 세법에 따라 사업자등록을 한 자
6. 월 급여총액이 300만원 초과한 자
7. 소정근로시간이 주 30시간 미만인 자
8. 재택 근무자
9. 근로자 파견업, 인력공급업, 경비 경호업, 사업시설 관리 서비스업에서 간접고용형태로 채용된 근로자
해당 경우에는 가입을 할 수 없습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내용
▶ 청년
청년 본인이 2년간 300만원(매월12만 5천원)을 적립하면 정부(취업지원금 600만원)와 기업(300만원, 정부지원)이
공동 적립이 되어 2년 후 만기공제금은 1200만원+∂ 입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원 시 장점은
최소 2년 동일 사업장에서 근무하면서 실질적 경력 형성의 기회를 가질 수 있고
만기 후 중소벤처기업부의 내일채움공제(3~5년)로 연장가입 시 최대 8년의 장기적인 목돈 마련이 가능한 점입니다.
▶ 기업
기업 규모에 따라 적립금액 및 적립, 지원 방식 구분이 됩니다.
30인 미만 기업인 경우 기업지원금 2년간 300만원 지원받아서 적립이 되며 (2년간 4회 기업가상계좌에 적립)
30인~49인 기업인 경우는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2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 (매월 2.5만원 적립)하고
80%는 기업지원금을 주기별로 지원 받아 적립합니다.
50인~199인 미만 기업인 경우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5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 (매월 6.5만원 적립)하고 50%는 기업지원금을 주기별로 지원받아 적립합니다.
200인 이상 기업인 경우 기업이 기업기여금(2년간 300만원)의 100%를 기업부담금으로 적립합니다. (매월 12.5만원 적립)
청년내일채움공제 장점은
'인재육성형 전용자금' 지원 대상으로 편입 등 중소벤처기업부 사업 참여 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잦은 이직으로 인해 인력난이 심각한 중소기업은 우수인력을 고용유지할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방법
워크넷-청년공제 홈페이지에서 참여신청
https://www.work.go.kr/youngtomorrow/index.do
청년내일채움공제
청년내일채움공제 참여!! 청년은 장기근속과 목돈마련의 기회를, 중소기업은 우수인재 확보와 고용유지의 기회가 됩니다. 사업소개 바로가기
www.work.go.kr
운영기관의 자격심사에 따른 워크넷 승인 완료 후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 신청
https://www.sbcplan.or.kr/intro.do
내일채움공제
내일채움공제
www.sbcplan.or.kr
반드시 정규직 채용일로부터 6개월 이내 청년공제 청약 홈페이지에서 청약신청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가입 시 필요 서류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 시 필요한 서류는 청년, 기업에 따라 다른데
청년은 가족관계증명서, 4대 사회보험 가입자 가입내역 확인서, 병적증명서, 주민등록등본 또는 신분증이 필요하고
기업은 사업자등록증, 국세/지방세 납세 증명서이며 법인이라면 등기부등본, 주주명부까지 필요합니다.
2022.01.22 - [꿀팁] - 가족관계증명서 발급하는 방법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가족관계증명서 발급하는 방법 /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발급
안녕하세요:) 가족관계증명서는 두루두루 필요할 때가 많은데요! 필요할 때 쉽게 인터넷으로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가족관계증명서 인터넷 발급방법 1. > 가족관계증
koreakej1995.tistory.com
2022.01.15 - [꿀팁] - 4대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하기
4대보험 가입내역 확인서 발급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4대보험 가입 확인서를 인터넷으로 발급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4대보험이란 무엇일까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이 4가지의 가입내
koreakej1995.tistory.com
2022.01.13 - [꿀팁] - 주민등록등본 인터넷발급 하는 방법, 참 쉬워요!
주민등록등본 인터넷발급 하는 방법, 참 쉬워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주민등록등본 발급을 위해서 동사무소나 무인발급기를 찾을 필요 없이 집에서 직접 인터넷으로 발급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인터넷 발급 시 수수료(
koreakej1995.tistory.com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청년만 신청하면 되는게 아니라 기업도 같이 신청해주어야 하는데
혹시나 기업이 적극적이지 않으면 기업이 부담하는 비용이 없거나 적다는 점을 어필하여
설득해서 꼭 청년내일채움공제 신청하세요!!
감사합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 청년희망적금 (0) | 2022.02.04 |
---|---|
청년내일채움공제 중도해지 재가입 (0) | 2022.02.04 |
중소기업 청년 소득세 감면 제도 신청하기 (1) | 2022.02.03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일정 (0) | 2022.01.30 |
건강보험 납부 확인서 발급방법 (0) | 2022.01.26 |